비타민 K의 발견
1930년대 초 덴마크의 영양 생화학자인 Dam은 무지방 식이를 먹인 닭이 출혈성 증후군을 일으키는 것으로부터 비타민 K를 발견하였습니다. 이때 먹이에 알파파라는 풀을 첨가하든지 또는 녹황색 채소의 지방질 추출물을 주면 상태가 개선됨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후 1935년 혈액응고 인자로 발견된 비타민 K는 혈액을 응고시키는 피브린 형성에 관여하는 프로트롬빈의 생성에 필요한 물질입니다. 비타민 K는 지용성 물질이므로 체내로 흡수되기 위해서는 담즙이 필요합니다. 폐쇄성 황달의 경우 혈액 중에 프로트롬빈 양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담즙이 장으로 흘러 나오지 못해 비타민 K의 흡수가 저하됨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비타민K의 하는일은
1. 혈액이 정상적으로 응고되는데 사용됩니다. 혈액이 굳어서 딱지나 혈전이 생길 때에는 많은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비타민K는 이 혈액 응고 과정에서 거의 마지막 부분에 관여하는 프로트롬빈을 만드는데 관여합니다. 비타민K가 간에서 아미노산중 하나인 글루탐산과 이산화탄소를 결합시켜서 이 프로트롬빈을 만들어 내는 일을 합니다.
2. 비타민K는 칼슘대사에도 관여해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우리 뼈에는 오스테오칼신이라는 단백질이 있는데 비타민K는 이 단백질을 이산화탄소와 결합시켜 변형시켜줍니다. 이렇게 변형된 단백질은 칼슘이 잘 붙는 형태가 되어 골밀도가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비타민 K의 종류
비타민 K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1. 비타민 K1(필로퀴논) -주로 식물에서 합성되기 때문에 우리는 주로 음식으로 섭취합니다.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브로콜리, 양배추, 상추등 녹황색 채소와 동물의 간, 올리브 오일 같은 식물성 기름에 들어 있습니다. 비타민K를 섭취하면 소장의 일부에서 흡수되는데 이때 비타민 K는 지용성이라 지방과 함께 섭취할 경우 더 흡수가 잘 됩니다. 또한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도 흡수를 돕기 때문에 여성들이 비타민K 흡수가 더 잘됩니다.
2. 비타민 K2(메나퀴논)-우리 뱃속에 있는 장내 미생물에 의해 합성됩니다.
비타민 K권장량과 주의점
일일 권장량 21~1,000㎍입니다. 보통 지용성 비타민은 지방에 축적 되어서 그 양이 너무 많아지면 독성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비타민 K는 간이나 그 외적으로 피부, 근육, 신장, 심장등에 저장되기는 하지만 대사와 전환속도가 빨라 체내에 많은 양이 저장되지 않고 신속하게 배설되어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비타민은 식사를 통하여 섭취해야 하는 영양소이지만 비타민 K의 경우 사람의 장내에 서식하는 세균에 의해 합성되기도 하므로 체내의 필요량의 약 절반 정도는 공급받게 됩니다.
그러므로 항생제 복용등으로 미생물이 사멸되어 비타민 K의 합성이 이루어지지 않던가, 담즙의 분비가 불충분하여 비타민 K가 충분히 흡수되지 않으면 프로트롬빈의 생성에 지장을 초래하여 출혈하는 경우 지혈이 잘 되지 않기도 합니다.

비타민K를 복용하면 안되는 경우는 항응고제(피를 굳지 않게 조절하는 약)을 복용하는 경우입니다. 인공혈관이나 심장에 인공판막을 삽입한 경우, 정맥 혈전증, 폐 색전증 같은 혈액 응고 질환이 있는 경우 복용하는 약이 항응고제인데, 비타민 K와 같이 복용할 경우 뇌나 심장 같은 중요한 장기의 혈관을 막는 혈전이 생길 수 있으니 항응고제를 복용중인 환자들은 비타민K나 녹황색 채소를 삼가해야 합니다.
코엔자임 Q10과 비타민 K를 같이 섭취하는 것은 항응고제를 복용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혈전 발생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코엔자임 Q10과 비타민 K의 화학식이 비슷해 같이 섭취하게 되면 비타민 K의 작용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지혈작용을 하는 허브(알파파, 양배추, 파슬리)를 비타민 K와 같이 복용하게 되면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사람에게는 혈전 위험이 있으므로 조심해야합니다.
비타민 K결핍증상

1. 쉽게 멍이 들거나, 코피, 잇몸 출혈, 혈노, 혈변, 생리혈 증가, 갑작스런 과다출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결핍이 장기화 될 경우뼈의 약화, 골절, 골다공증 발생 위험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음식물로부터 섭취도 가능하고, 장내 미생물도 만들기 때문에 결핍이 흔하지는 않지만, 지방 흡수에 관여하는 담즙 생산과 배출 기능이 떨어져 있는 경우, 대장염이나 장 절제와 같이 흡수력에 제한이 되는 경우에는 결핍 될 수 있습니다. 간염, 간 경변등의 간 질환으로 인해 혈액응고 인자 활성과 비타민 K의 저장이 제한 된 경우에도 결핍 될 수 있습니다.
비타민 K가 들어있는 식품


비타민 K의 급원식품은 시금치, 브로콜리, 양배추 등과 같은 엽록채소입니다. 우유는 모유보다 비타민K 함량이 높습니다. 식품으로부터 얻은 비타민 K의 독성은 비교적 적으며, 동물에게 하루 필요량의 1,000배를 투여해도 좋지 않은 부작용은 아직 보고되지 않았습니다.